본문 바로가기

Mr 웨일의 가상현실 칼럼

(6)
Mr. 웨일이 예측하는 가상현실의 미래 4단계 - 트랜스휴머니즘 기술로 말미암아 탄생한 '대안현실'의 시대 현실 현실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느끼는 현실은 과연 실재(實在)와 같은 것인가? 우리가 느끼고 있는 이 현실은 우리가 사는 실제 세계를 얼마나 잘 담고 있는 것인가? 혹은, 우리의 현실이 얼마나 불완전하고 헛된 것인가? 가상현실에 대해 이야기하노라면 많은 이들의 뇌리에 가상현실이란 '가짜현실'이라는 등식이 박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가상현실이라함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현실을 모방하여 한낯 피조물인 인간이 손으로 만든 불완전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 피조물이 종교관에서의 신으로 인해 만들어진 존재든, 아니면 빅뱅으로 대유되는 과학적 의미에서의 창조주체에 의한 피조물이든 상관없이) 하지만 만약 지금 이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의 가상현실이 있다면 우리는 그 가상현실 속 경험을 '가..
Mr. 웨일이 예측하는 가상현실의 미래 3단계 - 풀다이브(Full Dive), 완성된 가상현실 상상해보라 다른 세계로 넘어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곳과 다른 현실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금껏 본 적 없는 눈부신 풍경, 느껴본 적 없는 상쾌하고도 이색적인 공기...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적인 그림과 같이 푸른 창공을 산책하듯 걸어간다고 생각해보라 신이 된 기분으로 하늘 위를 산책하는 당신의 등에 10만원에 간신히 달하는 게이밍 의자의 쿠션 감촉이 느껴진다면, 눈가에는 HMD의 접촉면이 일으키는 답답함이 느껴진다면 당신은 그 세계속으로 들어갔다 할 수 있는가? 아니다. 당신의 감각은 아니, 당신은 여전히 당신이 원래 있던 현실에 있는 것이다. 진정한 가상현실, 또 다른 세계로의 진정한 여행은 두 가지가 전제 되어야 한다. 하나, 당신이 원래 있던 현실의 일들이 당신의 감각..
Mr. 웨일이 예측하는 가상현실의 미래 2단계 - 실감교류미디어로서의 가상현실 우리 눈에 보이거나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 그 모두가 혹시 꿈속의 꿈에 지나지 않을는지? -에드가 엘런 포우-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니비가 꿈에 장자가 된 것인가? - 장자 「제물론(齊物論)」-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 학창시절 누구나 한 번쯤 접해보았을 인물 데카르트. 데카르트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라도 그의 명언은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흔히 이 문구를 철학의 영역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명제를 결론으로 도출해내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데카르트의 악마' 는 인지과학의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데카르트의 악마'는 진정한 진리를 얻기 위해, 절대 의심할 수 없는 절대적인 사실 한 가지를 얻기 위하여 칸트가 상정한..
Mr. 웨일이 예측하는 가상현실의 미래 1단계 - 非 BCI 계통 몰입형 가상현실 ****************************의 모습 미리 살펴보기****************************** * 현실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선명해진 HMD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 인간의 시야각 완벽 구현 * 아이 트래킹 기술을 통한 디지털 멀미의 해결 * VR 글러브, 테슬라 수트, 초음파 햅틱 기술 등을 비롯한 촉감 구현기술의 발전 * 후각 및 미각 디스플레이의 정교화 * 훨씬 저렴해진 고성능의 VR 트레드밀 등장 * 2020년대 초중반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 ****************************************************************************************************************************** ..
Mr. 웨일이 예측하는 가상현실의 연대기별 발전 단계 모든 기술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투석은 투창으로, 투창은 활과 화살로, 활은 총으로 변화했다. 위에 예시로 든 투사무기처럼, 변화하는 것은 해당 기술의 구체적인 기능이나 성능이 될 수도 있고 때론 그 용도 자체가 완전히 변모하기도 한다. 탄도의 궤적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가 오늘날 문서작업이나 게임을 위해 주로 쓰이는 것처럼 말이다. 가상현실 기술 역시 예외라고 볼 수 없다. 가상현실 기술은 앞으로 시간이 지날 수록 성능에서 기존의 것들의 추종을 불허할 것이며 단순한 오락적 용도였던(넓게 보자면 치료, 훈련 용도였던) 오늘날의 가상현실 기술과는 다르게 인류에게 있어서 삶의 패러다임을 뒤흔들어 놓을 무엇인가가 될지도 모른다. 분명한 건, 가상현실 기술은 시간이 흐르며 변화할 것이..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이란 무엇인가? 매트릭스 (1999) 13층 (1999) 소스코드 (2011) 소드 아트 온라인 (2012)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모두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영화 매트릭스와 13층의 경우, 한창 세기말의 테크노 붐이 불던 시기에 인간 문화의 낭만이 자연세계에서 사이버 공간으로 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가상현실에 대한 상상력도 폭발하여 탄생하게 된 걸작들이다.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인공의 현실 실제의 현실과 유사한 물리적인 상호작용은 물론 거기서 오는 오감의 감각까지 모두 똑같은 가상의 환경... 위 작품들 모두 공교롭게도 주인공들이 가상현실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작 감상자들에게 가상현실이란 소재가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현실도피'는 인간이 선택할 수 있..